| 임신시기 | 검사명 | 검사내용 |
|---|---|---|
| 임신초기 기본검사 | 병력 청취 | 내과적질환, 수술력, 가족력, 산과력등 문진 |
| 골반 진찰 | 냉, 성병, 자궁기형, 정맥류, 골반 크기 등 | |
| 초음파 검사 | 정상 임신 여부, 태아 크기, 심박동, 쌍태 유무 자궁, 난소 기타 이상소견 유무 확인 | |
|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| ||
| 소변 검사 | 당뇨, 단백뇨, 혈뇨, 세균 유무 | |
| 혈액 검사 | 빈혈, 혈액형, 간염, 매독, 에이즈, 풍진검사 간/신장/갑상선 기능검사 | |
| 10 ~ 14주 | 임신초기 기형아선별 혈액검사 (PAPP-A, free B-hCG) | |
| 임신초기 정밀 초음파 검사 (태아 목투명대, 코뼈등) | ||
| 융모막 검사 (필요시) | ||
| 15 ~ 22주 | 임신중기 기형아선별 혈액검사 (QUAD 검사) | |
| 양수검사 (필요시) | ||
| 20 ~ 24주 | 임신중기 정밀 초음파 검사 | |
| 24 ~ 28주 | 임신성 당뇨 선별 혈액검사 | |
| 혈액 검사 | 빈혈 유무 | |
| 소변 검사 | 당뇨, 단백뇨 유무 | |
| 입체초음파 | ||
| 혈압, 체중 측정 | 매 방문시 | |
| 임신 초기 (1~3개월) |
- 유산이 많으므로 조심합니다.
- 뇌세포가 대부분 완성되는 시기입니다. - 엽산, 단백질 등 영양 섭취에 신경을 씁니다. - 약물 복용이나 X선 촬영은 피합니다. |
| 임신 초기 (1~3개월) |
|
| - 유산이 많으므로 조심합니다.
- 뇌세포가 대부분 완성되는 시기입니다. - 엽산, 단백질 등 영양 섭취에 신경을 씁니다. - 약물 복용이나 X선 촬영은 피합니다. |
|
| 임신 중기 (4~7개월) |
- 단백질, 무기질,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합니다.
- 등을 곧게 펴고 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. - 식이 조절을 통해 임신중독증과 임신 비만에 주의합니다. |
| 임신 중기 (4~7개월) |
|
| - 단백질, 무기질,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합니다.
- 등을 곧게 펴고 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. - 식이 조절을 통해 임신중독증과 임신 비만에 주의합니다. |
|
| 임신 후기 (8~10개월) |
- 조산이 되지 않도록 조심합니다.
- 혼자 외출하는 것을 삼가합니다. - 외출 시 건강보험, 진료카드, 비상연락처, 산모수첩 등을 휴대합니다. - 언제라도 입원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. |
| 임신 후기 (8~10개월) |
|
| - 조산이 되지 않도록 조심합니다.
- 혼자 외출하는 것을 삼가합니다. - 외출 시 건강보험, 진료카드, 비상연락처, 산모수첩 등을 휴대합니다. - 언제라도 입원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. |